겨울 산은 정말 아름답습니다. 눈 덮인 능선을 걷고, 하얀 숲길을 지나며 바람 사이로 들리는 고요한 소리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특별한 경험입니다.
하지만 그만큼 겨울 등산은 여느 계절보다 안전에 더욱 철저히 대비해야 하는 산행입니다.
특히 초보자 분들이 처음 겨울 산에 오르실 때 가장 주의하셔야 할 두 가지는 저체온증과 미끄러짐 사고입니다.
저도 초기에 방풍 자켓 하나 믿고 설산을 올랐다가, 손가락이 얼고 땀 식은 등 부위가 급격히 차가워지면서 하산 중에 떨림 증상을 겪은 적이 있었습니다.
겨울 등산은 옷을 어떻게 입고, 장비를 어떻게 챙기며, 걸음걸이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저체온증 대비는 체온 유지와 땀 관리입니다
겨울 산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은 체온이 떨어지는 바로 그때입니다. 저체온증은 반드시 눈 속에 파묻혀야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. 실제로 땀이 식은 등 부위, 젖은 양말, 바람이 직접 닿는 손목과 목 부위만으로도 충분히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.
저체온증을 예방하려면 레이어링 방식으로 옷을 입어야 합니다.
땀을 흡수하고 빠르게 말리는 기능성 이너웨어와 체온을 위한 플리스 또는 경량 패딩 중간층 레이어링이 중요합니다.
바람과 눈을 막아주는 방풍 방수 겉옷 (쉘 자켓) 도 중요합니다.
- 목, 손목, 발목은 보온 유지에 매우 중요한 부위입니다. 넥워머, 장갑, 두꺼운 양말은 꼭 준비하세요.
- 땀을 식히지 않도록 걷는 속도를 조절해야 합니다. 겨울에는 너무 빨리 걷지 말고, 숨이 조금 찰 정도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산행 중간에 젖은 옷을 갈아입거나, 열이 날 때는 외투를 벗어 땀이 과도하게 차지 않도록 조절하세요.
저는 항상 겨울 산행 시 배낭에 얇은 기모 티셔츠 1장, 여벌 양말, 작은 수건은 꼭 넣어 다닙니다. 간단한 준비지만 실제로 체온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미끄러짐 사고는 작은 방심에서 시작됩니다
겨울 산행의 또 다른 큰 위험은 얼어 있는 지면에서의 미끄러짐입니다. 특히 내리막길, 돌 위, 얕은 눈이 쌓인 낙엽길은 가장 사고가 많이 나는 구간입니다.
저는 예전에 초설 직후, 등산로 초입이 살짝 얼어 있는 줄도 모르고 평소처럼 발을 딛다가 미끄러져 허리를 다친 적이 있습니다. 그 후부터는 미끄럼 대비 장비와 걸음걸이에 특히 신경을 씁니다.
미끄럼 사고를 예방하려면
- 미끄럼 방지 아이젠(경량형 체인 아이젠 또는 6~8발 고정형 아이젠)을 반드시 착용하세요.
눈이 얕다고 해서 생략하면 절대 안 됩니다. 얇은 얼음은 오히려 더 위험합니다. - 스틱 사용은 필수입니다. 양손에 하나씩 사용하면 균형 유지와 하중 분산에 탁월합니다.
내리막에서는 스틱을 발보다 앞에 찍고, 그 다음 발을 내딛는 순서를 지키면 미끄러짐 위험이 크게 줄어듭니다. - 걸음걸이는 보폭을 작게 유지하고, 발바닥 전체로 착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특히 내리막에서는 무릎을 약간 굽히고 몸의 무게 중심을 낮춰야 합니다. - 혹한기에는 손잡이도 미끄러질 수 있으니, 장갑은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제품을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.
겨울 산행의 핵심은 ‘무리하지 않기’ 입니다
겨울 산은 다른 계절보다 훨씬 체력 소모가 크고, 변수도 많습니다. 눈, 얼음, 바람, 낮은 온도 모두가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무리한 코스 선택은 절대 금물입니다.
- 일출 산행은 등산 경험이 충분한 분들만 도전하시는 게 좋습니다.
- 해가 짧기 때문에 반드시 하산 시간을 계산하고, 15시 이전 하산을 목표로 하세요.
- 등산 앱(트랭글, 램블러, 가민 등)이나 GPS 기능이 있는 워치로 현재 위치를 계속 확인해 주세요. 눈길에서는 이정표가 가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핫팩, 여분 건전지, 보조 배터리, 비상식량(초콜릿, 견과류 등)은 꼭 챙기셔야 합니다.
겨울 등산은 준비만 잘 하면 정말 아름답고 만족도 높은 산행이지만, 작은 부주의는 곧바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가장 안전한 겨울 산행은 ‘내 상태를 정확히 알고, 내가 할 수 있는 만큼만 하는 것’입니다. 무리하지 않고, 철저히 준비된 산행이야말로 진정한 겨울 힐링 산행입니다.
'등산의 모든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주 오름 트레킹 추천 코스 (1) | 2025.07.07 |
---|---|
산악 지형에서 GPS 없이 길 잃지 않는 법 (0) | 2025.07.06 |
강원도 계곡형 힐링 등산 코스 – 걷기만 해도 시원해지는 길 4선 (1) | 2025.07.06 |
강원도, 산은 많은데 어디로 가야 할까요? (0) | 2025.07.06 |
대중교통으로 갈 수 있는 숨은 명산 4곳 (1) | 2025.07.05 |